클라우드에서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및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인프라 서비스와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대용량 데이터 분석, 미디어 처리와 같은 플랫폼 서비스, 그리고 AI 기능이나 개발 도구, 비즈니스 솔루션 등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이 제공됩니다. 아울러 다양한 관리 도구와 보안 기능이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온디맨드로 필요할 때 직접 생성해 수 분 만에 사용할 수 있으며 종량 과금제가 적용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함으로서 기업은 초기 자본 지출없이 신속하게 IT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스타트업, 중소기업 및 공공 부문 고객이 변화하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는 데 필요한 IT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장접
CAPEX를 OPEX로 대체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유동적인 IT자원 수요 상황에서 데이터센터 및 컴퓨팅 리소스를 사전 계획하여 선 투자하지 않고, 필요한 시점에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에서 얻는 이점
소규모의 IT자원을 직접 구축할 경우 부수적인 투자비가 소요되며,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규모로 미리 준비되어 있는 클라우드에서는 규모의 경제이기에 가능한 이점들이 고객혜택으로 돌아갑니다.
지속적인 기술 혁신 및 적용
클라우드 사업자는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더욱 새로운 서비스 상품을 제공합니다.
빠른 프로비저닝 및 유연한 확장
클라우드에서는 몇 번의 클릭으로 단 몇 분만에 서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는 직접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필요할 때 언제든지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인프라 유지 관리에 대한 부담 제거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운영되는 클라우드를 사용함으로써 인프라 유지 관리의 부담을 잊고 사업의 핵심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IaaS : 서비스로의 인프라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Computing, Networking, Storage 등의 IT리소스를 서비스 형태로 사용합니다.
CaaS : OS 레벨이 아닌 컨테이너 레벨의 기능들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합니다.
PaaS / aPaaS : 기본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를 직접 관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플랫폼 소프트웨어들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합니다.
FaaS : 컴퓨팅 리소르르 서버 단위가 아닌 기능(function code) 단위로 실행할 수 있으며, 서버 관리와 구성을 직접하지 않고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aaS : 완제품 형태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합니다.
NAVER CLOUD PLATFORM 소개
NAVER CLOUD PLATFORM
매출, 상품 수, 고객 규모 모두 매년 2배 이상 성장하며 가장 빠르게 발전하는 NAVER Cloud의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국내 최대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에 사용된 기술과 인프라스트럭처
NAVER CLOUD PLATFORM은 4천 2백만 회원, 모바일 1일 순 방문자 수 3천 만의 국내 최대 인터넷 서비스 NAVER, 월간 2억 이상의 액티브 사용자와 하루 170억개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글로벌 모바일 서비스 LINE에 사용되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동일한 기술로 구현되었습니다.
공공 클라우드 보안 인증으로 증명된 안정성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전 세계 230개 국가에 LINE을 전파하며 쌓아온 온라인 서비스 운영 역량과 특화 기술을 고스란히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담았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엄격한 공공기관의 심의요건을 충족하고, 다수의 보안 인증으로 그 안정성을 검증했습니다. 이제 전국민 대상의 공공 사이트를 네이버 포탈처럼 친숙하고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보안 기술
서비스 안정성과 정보 보호 관련한 국제/국내 인증을 다수 취득하였으며 단 1건의 보안사고도 허용하지 않는 엄격한 보안 기술력으로 사용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 기술
네이버와 라인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운영 경험으로 축적한 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품질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국내 최대 IT서비스의 안정적인 인프라
정전과 지진에 대비해 튼튼하게 지어진 자체 데이터센터, 3번 백업한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스토리지 기술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쉽고 간편한 웹 기반 관리 도구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설계된 관리 도구를 웹으로 제공합니다.
글로벌 메이저급 인프라 품질
글로벌 데이터센터 간 최적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전용 회선이 구축되어 있으며 해외 주요 통신사와의 유기적 협력으로 대용량 서비스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합니다.
24시간 365일 사용자 지원
사용자의 다양한 이슈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 분야별 전문 기술진으로 구성된 사용자센터를 항시 운영하고 있습니다.
HISTORY
2012년
Ncloud v1.0 자체 개발 (네이버 내부 핵심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전환 시작)
클라우드 서비스 상생 지원 프로그램 '에코스퀘어'시작
2017년
NAVER CLOUD PLATFORM 출시 (2017년 4월) (기존 Ncloud v2.0을 본격적인 퍼블릭 클라우드로 제공)
2017년 한해, 매월 5~6개 상품 출시, 4월 상품수 22개, 리전 1개(KR) -> 12월 상품수 80개, 글로벌 리전 6개 (KR, US-W, SG, HK, JP, DE)
2017년 7월 공공 클라우드 출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공공 클라우드(CSAP)인증 취득, CSA STAR Gold 등급 취득
2019년
국내 최초로 금융/핀테크 기업만을 위한 금융 클라우드 출시
금융 컴플라이언스 준수에 대한 접근 방식을 최소화
2021년 현재
각 컴플라이언스에 맞는 클라우드를 제공 (공공/금융/민간 클라우드)
전체 상품 소개
클라우드 관리 콘솔
NAVER CLOUD PLATFORM의 100여가지 서비스 및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성
MC (Main Console)을 통한 전반적인 이용 상품 내용 및 공지사항, 신규 상품 출시 내용 확인
상품 별 상세 사용 가이드 문서 연결
자주 사용하는 상품 고정하기
사용할 리전 선택
모바일 콘솔 앱 제공
상품 소개, 이용관리, 계정 관리, 문의 하기 등은 포털 페이지에서 제공
인프라 상품군 - Server
NAVER CLOUD PLATFORM의 인프라 상품군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서비스입니다.
Server, VDS(Virtual Dedicated Server), GPU Server, Bare Metal Server 등의 상품이 있습니다
특징
물리적인 서버 자원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빠르게 생성해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는 효율적인 서비스입니다.
웹 기반 콘솔로 수 분 내에 서버를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않아도 선택한 서버 이미지에 따라 서버가 제공됩니다. 사용하고 있는 서버의 CPU나 메모리도 스펙 변경 기능을 통해 조정할 수 있습니다.
CPU, 네트워크, 메모리, 디스크에 대한 기본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Cloud Insight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버 상태 변화에 따른 이벤트 알림을 수신할 수 있습니다.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서버 사이에 사설 통신이 가능합니다. 또한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공인 IP를 제공합니다.
추가 Block Storage를 생성해 서버에 즉시 연결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타입은 HDD, SSD로 제공되며 필요한 I/O 성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규모와 사용 목적에 적합한 성능의 서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버 타입을 제공합니다.
[Classic 플랫폼]
Micro, Compact, Standard, High Memory, CPU intensive 서버